학과소개
수학교육과 발전계획
미래전망 : 창의적이고 우수한 역량을 갖춘 수학교육 전문가 육성
I. 대학 환경의 변화
■ 국가 교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교원평가 실시와 그 영향
■ 수학교사 임용고사의 경쟁률 상승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수학교사 수요의 증대
■ 지역사회의 교육발전을 위한 수학교육과의 역할 강화 필요성 증대
II. 우수학생 유치
■ 신입생 장학금 제도 도입 및 신입생 미적분학 책 기증
■ 가계 곤란한 성적 우수자 장학금 지원
■ 학과 홍보 강화
- 홈페이지 활용
- 입시 설명회 개최
- 수학교육과의 날 개최(동문회와 공조)
III. 창의적인 수학교육 전문가 양성
■ 수업의 충실성 강화
- 수업방법의 다양화
토론식 수업 확대
다양한 과제물 제시
학생활동 강화
- 학생평가의 엄정성
평가영역의 다양화
상대평가 실시
- 종합시험 강화
(단, 임용고사 1차 합격자는 종합시험 합격으로 인정)
■ 임용고사 준비 지원
- 임용고사 조기 준비
1학년 미적분학 세미나 정례화
1-4학년 인터넷 교육학 강의 정례화
- 문제해결 세미나 및 여름 방학 워크샵
종합시험 우수 학생 중심의 문제해결 세미나 (1, 2학기)
여름방학 영역별 워크샵
팀별 세미나 활성화
- 2차 대비 특강 및 수업실연, 심층면접 지도
- 학생 상담활동 강화
학습 및 진로 상담
임용시험 외 다양한 분야 진출 권장
임용 시험 지역 선택
IV. 취업 역량 강화 및 재교육
■ 취업역량 강화
- 다양한 분야 진출 권장
- 공교육 지원 관련 재단법인 설립 모색
공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
사이버 콘텐츠 개발
공교육 지원 교육활동
생각하는 수학교실 운영(수학 부진아 등)
- 동문과의 유대강화
사립학교 진출 기회 확대
■ 취업역량 강화
- 교육대학원 기능 강화
- 신임교사 수업 컨설팅
- 멘토링 제도 도입
- 수학교육 공동체 구성
V.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수학교육과
■ 협력학교 확보 및 활용
- 지역학교와 MOU 교환을 통한 협력학교 확보
- 생각하는 수학교실 운영
- 교육실습 강화(수업설계, 실행, 분석)
- 현장교사의 예비교사 지도 강화
- 보조교사 및 멘토 지원
■ 교육봉사 학점 관리 체계화
- 교육봉사 학점제(2학점 60시간)
보조교사 활동
멘토링 활동 체계화
생각하는 수학교실 참여
■ 발전기금 조성
- 1인 1구좌(10,000원)
- 목표 200구좌
- 발전기금 운영 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