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교육연구 전문가들의 열린광장 역사교육과

진리(眞理), 정의(正義), 개척(開拓)

학과소개

학과 소개 및 연혁

home 학과소개 학과 소개 및 연혁

역사교육과 소개

국립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는 1977년도에 창설되어 현재 29회 졸업생까지 612명을 배출한 본 학과는 중등교육기관에서 필요한 역사과(국사, 세계사)교사의 양성을 제일의 목적으로 하며, 인접학문과 협력하여 공통사회교과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양성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이 목적에 부응하기 위하여 역사학의 제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과 연구 방법론을 습득시키는 한편, 역사 교재 및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지식과 능력을 배양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공 학문에 대한 균형 있는 이해와 교과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고양시키고, 특히 주입식 강의보다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토론, 문헌조사, 사료 교육 등을 통한 역사적 탐구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둠으로써 역사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977. According to a list of graduates, 612 students hav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The goal of this department is to educate history teachers and social studies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goal,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a course of study including regular courses about knowledge of history teaching methods, various knowledge and methodology for fields of history (Theories in History Teaching, Korean History, Asian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They must also explore historic remains every semester.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can find employment as history teachers, or curators of museums o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역사교육과의 비전과 임무, 교육목표

역사교육과 연혁

  1. 1977. 3. 역사교육과 설립
  2. 1980. 3. 1. 홍성표, 차용걸 교수님 부임, (서양사, 한국사 담당)
  3. 1981. 3. 양기석 교수님 부임, 한국사 담당
  4. 1983. 9. 정선영 교수님 부임, 서양사.역사교육론 담당
  5. 1984. 3. 전순동, 최병수 교수님 부임, 동양사 담당
  6. 1999. 역사.지리.사회교육학과군으로 개편
  7. 2009. 역사교육과로 신입생 모집
  8. 2010. 3. .1 이성재 교수님 부임. 서양사 담당
  9. 2013. 3. 1. 김보림 교수님 부임, 역사교육론 담당
  10. 2014. 3. 1. 김승욱 교수님 부임, 동양사 담당
  11. 2015. 4. 1. 허태용 교수님 부임, 한국사 담당
  12. 2017. 9. 1. 이정빈 교수님 부임, 한국사 담당
  13. 2018. 9. 1. 양진성 교수님 부임, 동양사 담당

중장기 발전 계획

학습 성과 평가방법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는 주기적으로 분석 평가(Evaluation)되며, 평가 결과는 프로그램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한다. 측정 결과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한다. 평가 체제에 따른 중장기 실적을 제시한다.

중장기 발전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역사 수업을 읽기(독서), 말하기(발표와 토론), 쓰기(논술) 중심의 의사소통적 접근법과 결합하여 이수 기준을 마련한다. 교수 내용을 수직적으로 전달하는 강의보다는 학습자의 주도적인 발표, 토론, 논술을 통해 학생들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을 조직화하는 형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윤리적인 주제들을 의사소통 접근법에 의해 탐구한다는 원칙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비판적인 사고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쟁적인 주제를 탐구해보는 절차를 확립한다.

교육 목표 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 자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구축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기술한다. 중장기적으로 이러한 자료 관리 체계가 전산 시스템으로 구축된 경우에는 평가단의 방문 시 전산 시스템의 기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교육 과정

학생들이 역사교육의 차원에서 소통의 의미와 이를 위한 자기 표현의 방식을 이해하게 한다. 아울러 비판적 읽기와 말하기, 쓰기의 균형 있는 훈련을 교육 과정에 반영한다. 이를 통하여 논쟁적인 주제들을 비판적으로 조명하여 창의적인 해결을 모색하도록 한다. 교육 과정별로 측정 가능한 수행 준거(performance criteria) 및 수행 수준의 정의와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 준거의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와 채점 기준을 문서화 한다.

문서화된 절차에 따른 평가를 알리며, 학생이 졸업 당시 이를 달성하였음을 증명하여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교육 개선에 반영하도록 한다.

  • 전문 교양에서 습득한 이론과 지식을 전공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
  • 현실적 제한 조건에 맞추어 구성 요소와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컴퓨터·정보 윤리 관련 문제들을 인식하며, 모델링할 수 있는 능력
  •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평생 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이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
  • 역사교육이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상황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
  •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 직업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분명한 인식
  •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